Github4 커밋 메세지 작성 가이드라인 - Conventional Commits 👋 Prologue 개발자들이 코드를 작성하고 난 후 항상 고민에 빠지게 되는 순간이 있다. 바로 깃 커밋 메세지를 작성해야 할 때이다. 내가 작업한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때 어떤 방식으로 써야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. 게다가 영어로 커밋을 작성하고자 할 때에는 영어 작문의 영역이 된다. 그러다보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, 규칙적이지 않는 커밋들이 쌓이게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커밋 메세지 작성할 때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. 협업을 할 때 서로가 작업한 내용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규칙적인 메세지를 작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📜 Conventional Commits Conventional Commits는 명확한 커밋 히스토리 관리를.. 2022. 9. 26. 깃 브랜치 관련 명령어와 옵션 👋 Git command options 깃 명령어를 작성할 때 다양한 옵션을 통해 명령을 내릴 수 있다. 깃의 CLI 커맨드를 익히면서 축약 형식의 옵션을 처음 접했을 때, 이해하기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기도 하다. 옵션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'--' 다음에 옵션 명칭을 적거나, '-' 다음에 해당 옵션의 축약 형태의 알파벳을 적으면 된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깃 브랜치 명령어와 주요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. 💻 Git branch command [ic]git branch[/ic] 명령어를 통해서 branch의 생성, 제거 및 확인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. 그 중 가장 기본 명령어부터 확인해보자 git branch -l [ic]--list[/ic] 옵션. 로컬에 존재하는 브랜치를 리스트로 보여준다... 2022. 9. 23. 터미널에서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 👋 Git & Github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만나게 되는 깃과 깃헙. 처음에는 낯설고 어려울 수 있지만, 잘 익혀둔다면 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비효율을 해결해주는 고마운 존재이다. Git은 프로젝트 소스 파일의 버전 관리를 도와주는 시스템(Version Control System) 중 하나로 전 세계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VCS이다. 그리고 깃헙은 깃 저장소 호스팅 웹 서비스로 깃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이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 GUI 없이 Terminal에서 깃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겠다. ❓ 그냥 GUI 툴을 쓰면 안되나요? 사실 이 부분은 나도 의문이 되었던 부분이다.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부를 했던 시기에는 깃허브 데스크탑을 썼었고, 스타트업에.. 2022. 9. 22. 깃헙 프로필 관리하기 👋 Prologue 나는 그동안은 깃헙을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나 회사 개발팀의 일원으로 협업을 위한 용도로만 썼었다. 그렇게 커밋을 올리고 풀리퀘스트와 코드 리뷰를 하면서 사용해왔다. 그러다가 다른 개발자 분들의 프로필을 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. 그 후 꾸준히 커밋 로그도 남기면서 프로필을 관리하고 있는데 어떻게 사용할 생각인지 공유해보려고 한다. 나의 깃헙 프로필 💡 이스터 에그! 깃헙 프로필과 관련한 이스터 에그가 있다는 걸 알았다! Username과 같은 이름의 저장소를 만들면 깃헙 프로필에도 README.md 파일로 소개글이 보이게 할 수 있다고 한다. 귀여운 고양이 친구가 나와서 반겨준다. 깃허브도 이런 재미있는 요소가 있다. 퍼블릭으로 저장소.. 2022. 8. 12. 이전 1 다음